|
-
"생명" 은 21세기의 화두이고, "생명살림" 은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과 하나님의 교회와 21세기 인류의 보편적 과제이다. 2002년에서 2012년까지 본 교단이 전개한 <생명 살리기 운동 10년>의 최종 목표는 각 지역교회에 생명선교목회를 정착시키는 것이었다. 생명선교목회는 결국 생명세계의 창조적, 구속적, 섭리적 회복과 갱신을 가져오는 치유와 화해의 목회이다.
-
세계교회협의회 제10차 부산총회의 주제는 생명과 정의와 평화로 이는 2020년까지 세계교회의 에큐메니컬 운동의 주제이다. 하나님이 창조하시고 구원하시고 섭리하시는 생명세계(사랑)를 지속 가능하게 하는 하나님의 상생 질서와 복음의 두 축은 "정의"(믿음)과 "평화"(소망)이다. 생명과 정의와 평화는 불가분리의 상호의존성을 지니고 있는 개념으로 통합적 인식의 틀을 필요로 한다. 정의 없는 평화, 평화를 지향하지 않는 정의는 생명 세계를 풍성하게 할 수 없다.
-
생명 세계의 두 축인 정의와 평화가 입맞추는 과정이 바로 치유와 화해의 과정이다. 따라서 <치유와 화해의 생명공동체 만들기>는 생명살림을 위해서 영적, 사회적, 생태적 차원의 총합적 정의와 평화를 이루는 교회의 본질적인 생명선교 목회사역이다. 하나님의 교회는 치유와 화해의 복음사역을 통해 지금 여기서 진행되는 하나님의 구원과 해방사역에 참여한다. 그리고 이를 가능하게 하는 영성의 두 축은 "자기 비움(Kenosis)"의 영성과 "상호의존성(Interdependence)"의 영성이다.
-
자기 비움과 상호의존성의 영성으로 실천하는 치유와 화해의 복음사역은 현실적으로 "에큐메니컬하게 지속 가능한 지역교회성장"을 가져오고, 이것은 결국 "총체적 생명자본의 성장"을 가져온다. "에큐메니컬하게 지속 가능한 지역교회 성장"이란 개체 교회의 성장이 전체 교회의 동반 성장을 가져오는 성장으로, 지역교회들의 공동의 증언과 봉사와 일치를 위한 지역 에큐메니즘의 연구와 개발과 실천을 통해 가능하다. "총체적 생명자본의 성장"이란 지역교회의 치유와 화해의 복음사역을 통해 인간 사회의 상호의존적 생명망이 강화되면서, 영적, 신체적, 사회경제적, 교육적, 윤리적, 문화적, 생태적 자본이 동반 성장하는 것으로 이것은 미래세대의 성장을 동반한다.
-
교회는 하나님의 백성 공동체요, 교회의 선교와 목회와 정치는 하나님의 선교와 목회와 정치이며, 동시에 하나님의 백성들의 선교와 목회와 정치이다. 그리고 그 본질적 목표는 총체적 차원의 생명살림에 있으며, 인간과 창조세계, 즉 모든 생명 세계에 구원과 해방을 가져오는 생명살림은 예수 그리스도의 치유와 화해의 복음을 통해서만 가능하다.
|
|
-
생명의 하나님의 말씀과 성령의 능력 안에서 예수그리스도의 정의와 평화를 지향하며 치유하고 화해하는 하나님의 백성 공동체로 날마다 새롭게 변화·발전하는 생명공동체로서의 한국교회
-
교회의 삶의 본질인 치유와 화해의 복음사역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영성과 전략, 복음적 교회 경영과 사회와의 소통 방안, 통전적이며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한 대안적 교회 경영시스템과 지역 에큐메니즘을 위한 공동의 실천과정을 연구·개발하고 교육·훈련하는 생명공동체로서의 한국교회
-
민족과 세계를 포괄하는 전(全)지구 생명공동체를 향한 하나님의 치유와 화해의 청사진을 이해하고 성취하기 위해 하나님의 선교와 하나님의 목회와 하나님의 정치에 예수 그리스도의 길과 진리를 따라 전 세계에 흩어진 지역 교회들과 선한 이웃들과 더불어 참여하는 생명공동체로서의 한국교회
|
|
-
지역교회들의 예배와 선교의 통전을 위해 치유와 화해의 복음사역이 지닌 영적(수직적), 사회적(수평적), 생태적(우주적) 차원을 총합적으로 연구하고, 이를 실천하기 위해 자기 비움과 상호의존성의 영성을 바탕으로 한 생명선교목회 시스템 개발
-
지역교회들의 일치와 갱신을 도모하고 지역사회를 위한 공동의 증언과 생명디아코니아사역을 증진시키기 위한 지역 에큐메니즘 (Local ecumenism) 강화
-
지구 생명공동체의 치유와 화해를 위해 지역 교회들의 전 지구적 차원의 지역 상호 간 '생명망 짜기' 사역 강화
|
|
- 치유와 화해의 복음사역으로써의 생명선교목회 구현
- 미래세대를 위한 지역 교회의 인구학적 지속 가능성 강화
- 복음의 전체성과 온전성을 증진하는 신학과 영성에 기초한 통전적·실천적 지역교회사역 개발
- 교회의 가시적 일치와 평신도 사역의 전문화와 활성화를 도모하는 신앙과 직제에 대한 연구개발
- 지역 에큐메니즘의 강화를 통해 에큐메니컬하게 지속 가능한 지역교회 성장과 지역사회의 생명자본 증진
- 대화적, 상호 변혁적, 상생적 기독교 문화 형성을 통해 사회통합을 위한 공감대 형성
- 민족공동체의 치유와 화해를 위한 평화통일 선교의 민족디아코니아 개발
- 지역상호간 생명망짜기로써의 세계선교사역에 대한 연구개발
- 생명중심의 생태적 창조신앙으로 의식화된 녹색교회공동체 구현
|
|
1. 하나님과의 관계 : 영적 수직적 차원 : 치유와 화해의 복음신앙 정립
치유와 화해의 복음신학 정립
치유와 화해의 복음선교운동
-
통전적 영성훈련 : 예배와 선교의 통전을 통한 그리스도인들의 삶의 스타일 변화
-
공동체적 회개 갱신운동 : 치유되고 화해된 하나님의 백성 공동체 회복
-
다음 세대를 위한 교회 운동 - 미래의 7세대를 위한 교육 선교운동
가정 신앙공동체의 회복
기독교 교육을 위한 유비쿼터스 시스템 선진화
기독교 청소년문화 개발
학원선교 및 지역 교회의 교육적 보완기능 및 멘토 역할 강화
교사교육 및 기독교 교육자와 멘토로서의 학부모 교육 강화
각 세대 간 신앙 연대와 협력 강화 (예, 교회학교, 청년회, 남선교회, 여전도회 사이의 상호 협력)
-
개인구원운동 - 5백만 복음화 운동
"치유와 화해의 생명공동체 만들기 10년"을 위한 복음전도 교재와 전략 개발
생명디아코니아를 통한 교회의 사회적 신뢰 회복과 병행
지역 에큐메니즘을 통한 지속 가능한 지역 교회 성장과 병행
다음 세대를 위한 교회 운동과 병행
치유와 화해의 복음을 기초로 한 평화교육 실시와 병행
지역사회를 위한 녹색교회 운동과 병행
치유와 화해 복음사역을 핵심으로 하는 생명선교목회 운동 : 생명살림의 두 축인 정의와 평화가 입 맞추게 하고
생명자본을 증진시키기 위한 통전적 생명운동
2. 인간사회와의 관계 : 사회적 수평적 차원 : 치유와 화해의 생명망짜기 운동
교회 양극화 해소 운동
- 자립 대상 교회 목회자 생활비 지원을 위한 "오병이어" 운동 : 교단 소속 목회자들이 매월 수익의 100분의 1을 자발적으로 나누는 운동
- 에큐메니컬하게 지속 가능한 교회 성장운동 : 상생 목회 환경 및 구조 개발
- 자발적 가난을 살아가기 위한 목사 장로 청빈 신앙운동
사회 양극화 해소운동 : 생명디아코니아운동
- 작은 자 섬김 운동 : 사회적 약자를 위한 돌봄 사역
- 지역사회의 생명안전망 강화와 생명자본증진운동 : "그리스도의 살아있는 편지" (Living Lettlers of Christ)
- 지역생명공동체를 위한 지역교회의 에큐메니칼디아코니아 사역
- 총회 차원의 기독교사회적기업, NG(P)O, 사회적 협동조합 등설립: 지역단위, 전국단위, 국제단위
치유와 화해의 사회교육 운동 : 기독교 평화 교육 운동
- 지역 교회의 교회학교를 포함한 모든 기독교 교육기관에서 치유와 화해를 핵심으로 하는 평화교육을 필수과목으로 실시
- 지역 및 전국 단위의 모든 평신도 기관에서 치유와 화해를 핵심으로 하는 평화교육 실시
- 지역사회를 위한 평화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실시
- 총회 훈련원을 각 신학대학과 남녀선교회, 장로회, 노회의 평생교육과정을 체계적으로 포괄하는 <한국기독교 평생교육원>으로 재구성
지역 에큐메니즘(Local Ecumenism)활성화
- 지역 교회와 성도들을 뿌리와 열매로 인식하는 교단과 지역 교회 운영 시스템연구 개발
- 교회의 일치를 위해 에큐메니컬 사역의 상생적 환경 개발
- 지역단위 에큐메니컬 사업 개발(Local Ecumenical Projects)
복음적 사회윤리에 기초한 사회통합운동: 생명 정의평화운동
- 기독교 사회윤리 교육
- 소통과 공존을 위한 대 사회 대화 운동
- 관계 회복운동
- 생명자본 증진 운동
민족공동체의 치유와 화해
- 평화통일교육
- 복음적 사회윤리에 기초한 민족 화해와 평화 통일 운동
- 민족 디아코니아 운동
- 한반도 평화를 위한 국제 에큐메니컬 연대 구축
지구적 차원의 지역 간 치유와 화해의 생명망 짜기 운동:세계선교
- 한국교회의 해외 선교에 대한 비판적 성찰 과정
- 해외 선교의 구조조정과 변화: 선교협의회와 선교 노회
- 세계적 차원에서 지역과 지역을 선교적으로 상호 매개하고 소통하는 글로벌 총회: "K-3A 치유와 화해의 생명망 짜기 운동"
- Weaving the GOD's Web of Life: Global Inter-Church Mission Council as an ecumenical fellowship and solidarity of local churches-Mission in spiritual, social, ecological development enhancing Life Capital
3. 자연과의 관계 : 생태적 우주적 차원 : 치유되고 화해된 창조세계보전운동
생명과 복음 중심의 시스템적 세계관(Life-and Gospel-Centric Systemic View of the World) 변화 운동
- 생태적 창조신앙으로 의식화된 그리스도인
- 신앙과 생태와 경제를 통합적으로 연구하는 위원회 발족 - Research Commission on Faith.Ecology and Economy
- 세계관 변화를 위한 성경 및 교육교재 발간
녹색교회생활운동
- 생명밥상운동
- 생태에너지 운동
- 생태(기후, 물, 흙) 생명 살리기 운동
- 지역 생태보전 개발운동 : 생태마을, 생명 숲 가꾸기 운동
- 생태문화운동
- 생태부채(Eco-footprint)보상운동
|
|
1. 기획준비단계 : 2012.9-2018.8
총회 창립 100주년(2012), WCC 10차 총회(2013)
"치유와 화해의 생명공동체 운동 10년" 특별위원회 구성
총회 100년과 생명 살리기 운동 10년에 대한 평가
정책개발을 위한 설문조사
치유와 화해의 복음사역에 대한 통전적 총합적 연구
"치유와 화해의 복음사역 10년" 종합 계획 수립
2. 제 1단계(3년) : 2013.9-2016.8
WCC 10차 총회(2013), WEA 총회(2014)
치유와 화해의 생명공동체로서의 지역교회와 교단의 지속 가능성 강화
한국 사회와 민족공동체의 치유와 화해를 위한 복음사역
세계교회와 더불어 지역교회 안에 치유와 화해의 생명공동체 만들기에 관한 공동의 비전과 이해 형성
지역 상호 간 치유와 화해의 '생명망짜기' 사역
지구 생명공동체를 위한 치유와 화해의 복음사역
3. 제 2단계(3년) : 2016.9-2019.8
교단 제100회 총회(2015), 루터 종교개혁 500주년(2017)
제1 단계사역에 대한 평가, 보완, 지속
아시아 - 아프리카 - 라틴아메리카 교회들의 치유와 화해의 복음사역 : K-3A(Korea-Asia, Africa, Americas)
4. 제 3단계 및 결산단계(3년) : 2019.9 ~ 2022.8
제 1, 2단계사역에 대한 평가, 보안, 지속
아시아 - 아프리카 - 라틴아메리카 교회들의 치유와 화해의 복음사역을 위한 선교적 연대 강화
전 지구적 지역상호간 생명망짜기 강화
결산단계
- K-3A 에큐메니칼 선교대회 : “치유와 화해를위한 지구적 지역상호간 생명망짜기” K-3A Ecumenical Mission Confer- ence : “Weaving Global Inter - local Web of Life for Healing and Reconciliation
- 치유와 화해의 복음사역 10년 평가
- 다음 10년을 위한 대안적 선교과정 준비
|
|
1. 특별위원회 구성
2012년 9월 총회에서 "생명 살리기 운동 10년"(2002-2012) 이후의 새로운 선교 과정으로
"치유와 화해의 생명공동체운동 10년"(2012-2022)를 제안하고 허락을 받는다.
2012년 9월 총회 이후 부 총회장이 당연직 위원장이 되는 "치유와 화해의 생명공동체 운동 10년"
특별위원회를 조직하고 활동한다.
2012년 9월 총회 이후 가을 노회에서 노회 별 "치유와 화해의 생명공동체 운동 10년" 위원회 구성
2. 과제 개발과 프로그램 기획
"치유와 화해의 복음사역 10년"의 과제와 프로그램 개발은 총회와 노회의 각 위원회와 사업부서들의
기존 프로그램 영역을 토대로 하되, 총회와 노회의 상관성을 고려하여 중복 없이 창의적이고 획기적으로
재구성하므로 효율성과 상호보완성과 총체성을 극대화한다.
3. PCK 포럼 "공감 21-복음과 생명"(PCK Forum "Consensus 21-Gospel and Life") 운영
"치유와 화해의 생명공동체 운동 10년"의 과제 모색과 대안 제시를 위한 실천적 포럼으로,
시스템 사고로 학제간, 선교 현장 간 대화를 통해 분야별 집단지성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예배와 선교의 통전과 자기 비움과 상호의존성의 영성 분야
- 일치와 갱신분야
- 치유와 화해의 생명선교목회 분야
- 공동의 증언과 에큐메니칼디아코니아 분야
- 에큐메니칼하게 지속 가능한 지역교회 성장분야
- 사회통합 분야
- 민족 화해와 평화통일 분야
- 지구생명공동체 생태적 생명망 강화분야 등
4. 기본사업
"치유와 화해의 생명공동체 운동 10년" 과제 개발과 프로그램 디자인
포럼 "공감 21-복음과 생명" 기획 및 실시
전문분야별 핵심 대화 그룹 조직 및 운영
교단 실무자를 중심으로 공동 실무팀 구성
홈페이지 제작 및 Social Network Service 활용방안 개발 및 실시
On-Off 언론홍보 제휴 극대화
On-Off 데이터베이스 구축
|